정부가 2024년도 국민연금인상률을 3.6% 상향조정하여 1월달부터 국민연금 수령액은 전년기준 3.6% 더 받게 되었습니다. 올해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약 649만명에 혜택을 입을것으로 예상되며,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등 다른 공적연금 또한 작년 물가상승률에 비례해 동일하게 3.6%가 인상된다고 합니다. 본포스팅에서는 2024년 국민연금 수령나이와 내가 받을수 있는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나 되는직 직접 모의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대표적인 사회보험제도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다시말해, 가입자, 사용자로부터 정률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이 다양한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제도라고 국민연금 보험 공단에서 안내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
2024년 기준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63세 부터입니다. 국민연금 제도가 최초 도입되던 당시에는 수급연령이 60세 였는데, 1998년 1차 연금개역을 단행하였고, 2013년부터 5년마다 수령연령이 1세씩 연장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2013년도 수급연령은 61세, 2018년도에는 62세 그리고 2023년도부터는 63세가 되었습니다. 2028년도부터는 64세가 될 예정입니다.
국민연금 가입 자격 요건
국내에 거주하는 18세이상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 및 국내거주 외국인은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며, 가입대상자로 1인이상 사업장의 근로자일경우 사업장가입자,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자는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적용제외자 중 본인이 희망하여 가입한자를 임의가입자 그리고 60세 이후부터 65세까지 본인이 희망해서 가입한 자를 임의 계속가입자라 칭합니다.
- 적용제외자 : 국민 연금 적용제외자란 공적연금 가입자, 수급자의 무소득배우자, 18세 ~27세 미만의 학생과 군인으로 소득이없는자, 기초생활수급자 그리고 1년이상 행방불명자 등을 말합니다.
역대 국민연금인상률 비교
아래표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대한민국 국민연금 인상률을 도표화한것입니다. 아래에서 보시다시피 최초 2012년 4%을 제외하고는 2020년까지 인상률이 0.4~2.2%내외 였습니다. 그와 비교했을때 올해 2024년 국민연금인상률 3.6%는 꽤 파격적이라고 느껴지는데요.
아래는 국민연금관리공단에 적시되어있는 실제 연금액 인상 사례를 도표화한 것입니다.
2003년부터 20년동안 실제로 최초수급년도부터 인상된 개인의 사례를 표시한것이라고 합니다. 초기 10년간 30만원이 인상되었지만 후기 기 10년간 23년도 까지는 약 10만원정도 인상이 되었을정도로 인상률이 저조해보입니다.
아래는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안내하고 있는 Q&A중 물가가오르면 연금액도 올라가나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전년도 소비자물가 변동률을 고려하여 수령액을 매년 1월부터 조정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내가 받을수 있는 국민연금 수령액은?
아래는 내가 실제로 받을수 있는 국민연금액을 국민연금공단 모의계산 페이지에서 계산할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처럼 월 납입료를 200,000원으로 입력했을때 예상연금액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가입기간에 따라 노령연금, 장애인등급에따라 장애연금 그리고 유족연금또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만 60세 미만 예상연금 모의계산
아래는 최장 만 60세 까지 납부한다는 가정으로 노령, 유족, 장애인 연금으로 모의로 계산해 볼수 있는 다른 모의 계산기입니다. 만 60세 미만 까지 조회가 가능합니다.
2028년도 기초연금40만원 단계적 인상 및 2024년 기초연금인상율 그리고 신청하는 방법
올해 국민연금 3.6% 인상률과 더불어 기초연금 또한 동일한 폭으로 올랐는데요. 추가로 2028년도까지 기초연금을 4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올릴계획의라고 정부는 발표하고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을
blogcja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