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대보험 계산기 및 월급실수령액 계산기

2023년도 최저임금은 9,620원입니다. 전년도에 비해 인상율은 5프로이며, 주40시간으로 계산했을때 받게될 월급은 2,010,580원 입니다. 금일은 아래 4대보험 계산기를 통해 내가 올해 2023년도에 내야 할 4대보험 즉,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이 얼마인지 알아보고 내가 받게 될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요율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 바로가기

 

 

국민연금 계산기 바로가기

 

 

건강보험 계산기 바로가기

 

 

장기요양 계산기 바로가기

 

 

고용보험 계산기 바로가기

 

 

해당 4대보험 계산기는 2023년 공단의 고지 내용에 따라 정확기 계산된 금액으로 오차가 없음을 알립니다. 하지만 원 단위 및 회사별 그리고 업종별 조금씩 다를수는 있습니다.

4대보험 계산 방법

위 '4대보험 계산기 바로가기' 로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옵니다. 월급여 입력란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상의 총급여액, 즉 소득세법상의 근로소득에서 소득세법상 비과세 근로소득을 참감한 금액을 입력하고, 본인이 다니고 있는 직장의 근로자수를 선택하고 아래 계산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예를 들어 월급여를 2,010,580원으로 입력을 하면 아래와 같이 본인이 내야할 금액과 사업자가 내야할 금액이 4대보험별로 계산되어 나옵니다. 합계로도 나오고요

 

월급 실수령액

4대보험료 소득세 공제 급여대장

위의 계산된 금액으로 내가 받을 실수령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급여 월급에서 내가 내야 할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을 제하고 추가로 소득세를 제하면 내가 실질적으로 받게될 월급 실수령이 됩니다.

 

2023년 변경된 4대보험율

아래는 전년도 2022년도와 비교하여 올해 2023년도에 변경된 4대보험 요율입니다.

국민연금 변경요율

*클릭시 이미지가 확대됩니다.

건강보험 변경요율

장기요양보험 변경요율

고용보험 변경요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