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도제한계좌 한도 상향 및 각 은행별 해지 방법

정부에서 현재 금융사에서 실행되고 있는 한도제한계좌 한도를 2024년 5월 2일부터 상향조정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현재가지 한도제한계좌의 한도가 너무적어서 상당히 기쁜소식이 아닐수 없는데요. 금번 포스팅에서는 한도제한계좌란 무엇이며 한도 상향은 얼만큼 되며 또 각각의 은행별 해지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한도제한 계좌란?

한도제한 계좌라고 들어보셨나요? 정상적으로 본인 증명을 해서 은행통장을 이용하고 계신분들은 조금 생소할수도 있는데요. 아마도 오랜동안 사용하지 않아 이체에 제한이 걸려있거나 몇년이 지나도록 묵혀있는 통장을 보시면 이런 한도제한 계좌로 되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필자도 개이적으로 한도제한 계좌가 없어서 조금은 생소했는데요.

 

공식적인 의미의 한도제한 계좌란 금융거래 목적 확인에 필요한 객관적 증빙서류를 제출할수가 없어서 입출금 통장 개설이 곤란했던 은행이용자들을 위해서 2016년도에 도입된 계좌라고 합니다.

 

즉 통장을 개설하려면 객관적인 개인정보들은 제출해야 하는데 이러한 증빙을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제한된 입출금을 허용하는 한해서 이러한 계좌를 사용했다고 하는군요.

한도제한계좌 한도 상향액

금번 5월 2일부터 상향되는 상향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존

  • 창구 입출금 : 100만원
  • ATM 인출 및 이체 : 30만원
  • 인터넷뱅킹등 전자거래 : 30만원

개선후

  • 창구 입출금 : 300만원
  • ATM 인출 및 이체 : 10만원
  • 인터넷뱅킹등 전자거래 : 10만원

은행별 한도제한 계좌 해제 방법

하지만 이러한 한도제한 계좌를 사용하고 있는분들은 한도 금액이 올라가서 좋을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정상적인 입출금 및 이체를 위해서는 한도제한 계좌를 해지하는 방법이 최선일 것입니다.

 

하루빨리 한도 제한을 푸시기 바라며 아래는 각 은행별 한도 제한 계좌를 해지하는 방법 및 제출증빙서류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우리은행

 

우리은행 한도제한계좌 해제

 

2. 국민은행

 

국민은행 한도제한계좌 해제

 

3. 신한은행

 

신한은행 한도제한계좌 해제

 

4. 농협은행

 

농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5. 기업은행

 

기업은행 한도제한계좌 해제

 

 

6. 하나은행

 

하나은행 한도제한계좌 해제

 

 

이상으로 은행 한도제한계좌 한도 상향 및 각 은행별 해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